농촌진흥청은 8월 6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진부시험포(평창군)에서 여름배추 안정 생산을 위한 다목적 관수 시스템 현장 설명회를 연다.
이번 행사는 여름배추 재배 현장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고온 피해에 대응해 미세살수를 통한 온도제어 기술을 설명하고 보급을 확대하고자 마련했다.
이날 선보이는 다목적 관수 시스템은 미세살수 장치(스프링클러)를 활용한 설비로 자동관수 제어기, 양액 용기, 방제 용기 등으로 구성돼 있다. 물 주기(관수) 외에도 온도 관리, 양액 공급, 무인 방제 등 여러 목적으로 쓸 수 있다.
시스템에 부착된 자동관수 제어기는 기온이 30도(℃) 이상일 때 미세한 물 입자를 뿌려 기온을 1.8~4.8도(℃)까지 낮춰준다. 기존 살수 장치는 입자가 굵어 증발열을 활용한 온도 조절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햇볕 데임을 유발할 수 있어 낮 동안 활용할 수 없었지만, 이 시스템은 40도(℃) 넘는 고온에 물을 줘도 배추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아 시간 제약 없이 쓸 수 있다.
또한, 양액을 섞어 뿌리기에도 좋다. 물을 줄 때 생리활성제(글루탐산 등)와 질산칼슘을 0.01% 농도로 섞어서 뿌리면 배추의 광합성 능력이 향상되고 항산화 효소 활성이 증대돼 생육 개선은 물론 환경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밭 방제도 더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제는 동력분무기로 밭 사이를 오가면서 직접 분사해야 하지만, 다목적 관수 시스템은 설치된 미세살수 장치로 물과 약제를 분사해 방제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분사 입자도 100마이크로몰 이하로 일반 동력분무기보다 가늘어 침투력이 강하기 때문에 더 높은 방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올해부터 ‘준고랭지 여름배추 안정생산 체계구축 시범사업’을 통해 다목적 관수 시스템 농가 실증과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기초기반과 옥현충 과장은 “다목적 관수 시스템의 미세살수를 활용하면 기온을 최대 4.8도(℃)까지 낮출 수 있으며, 생리활성제를 혼합해 분사하면 배추의 고온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라며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재배 기술을 개발·보급해 여름배추의 안정적인 생산·공급에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김대현 부장은 여름철 배추 수급 불안에 대비하기 위해 8월 5일 경남 거창 배추 재배지를 방문해 배추 생육 상황을 점검했다. 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