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팜스코 우수농장의 날!… 연암대 실습농장에서 새로운 가능성 제시


㈜팜스코 S2본부는 지난 5월 27일(화), 충남 천안에 위치한 연암대학교에서 ‘2025 팜스코 우수농장의 날’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평소와는 달리 일반 농장이 아닌 대학교 실습농장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교육기관과 산업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축산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번 행사에는 연암대학교 재학생 60여 명을 비롯해, 육근열 총장, 안국진 동문회장, 연암대 졸업 후 업계에서 활동 중인 관계자들 및 팜스코 임직원 등 총 12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실습농장 운영 성과 공유와 함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공유하며 열띤 논의를 이어갔다.

행사는 김병희 양돈팀장의 오프닝을 시작으로, ‘숫자로 보는 한돈산업’ 발표와 함께 국내 양돈산업 현황과 향후 전망을 짚었다. 이어 금동건 지역부장은 연암대학교 실습농장의 지난 5년간 성과를 분석하며, MSY가 18두에서 26.6두로 비약적으로 향상된 배경과 노력을 소개했다. 특히 그는 “60회 이상의 현장점검과 생산성 회의가 오늘의 성과를 만들었다”며 “이제는 MSY 30두를 향해 나아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최두현 사업부장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팜스코와 연암대학교가 함께 만들어낸 이 성과는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가 있다”며 “팜스코는 앞으로도 축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 인재들과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팜스코가 연암대학교와 함께 처음으로 진행한 양돈 세미나로, 학교 관계자들과 학생들의 높은 호응 속에 마무리됐다. 특히 연암대학교 육근열 총장과 안국진 동문회장은 “교육기관과 산업체의 실질적인 협력이야말로 양돈 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여는 열쇠”라며 축하와 격려의 메시지를 전했다.

행사 후에는 참석자 전원이 함께 구호를 제창하며, “높은 생산성으로 대한민국 최고 농장을 만들자!”는 다짐 속에 마무리되었다.
㈜팜스코는 앞으로도 교육과 실무가 연계된 현장 중심의 활동을 통해, 축산업계의 혁신과 성장을 선도해나갈 계획이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미국산 사과수입 검토에~‘... 농민단체들 발끈!
(사)한국사과연합회(회장 서병진/대경사과원예농협 조합장)는 15일, 한국사과연합회 회의실에서 긴급 임시총회를 개최하고 ‘미국산 사과수입 반대 결의문’을 공식 채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사과연합회 회원농협 조합장 20여명과 사과과원관리사(민간자격증소지자) 30여명 등 50여명이 참석하여, 미국산 사과 수입이 국내 재배농가를 벼랑 끝으로 몰아넣을 것이라는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결의문을 낭독했다. 결의문은 한국과수농협연합회 박철선 회장, 사과전국협의회 남정순 회장, 과원과리사협회 이수원 회장, 한국사과연합회 서병진 회장 등이 결의문으로 강력 촉구했다. 첫째, 정부는 국내 농업 보호 원칙을 저버리는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를 즉각 철회하라! 둘째, 정부는 앞으로 어떠한 통상 협상에서도 사과를 비롯한 주요 농산물을 협상 대상에서 제외하라! 셋째, 정부와 국회는 국내 사과산업을 지속 발전시키기 위한 종합대책을 즉각 수립하라! 넷째, 우리 사과 농업인들은 국민과 함께 대한민국 대표 과일인 사과를 끝까지 지켜낼 것을 엄숙히 다짐한다! 지금의 위기를 농업인간의 단결과 협동으로 돌파해 나갈것이며 만약 정부가 외면할 경우 총궐기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투쟁할 것임을 천명했다. 이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식품부, 여름철 농축산물 ‘수급안정과 소비자 부담 완화’ 총력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장마가 끝나고 전국적으로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다 최근에는 남부와 영동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되는 등 급변하는 날씨에 따라 농축산물의 수급 상황도 불안해 질 우려가 있다고 보고 농축산물 수급 안정과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여름철은 연중 가장 높은 농산물 가격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올해는 예년보다 무더위가 일찍 시작되면서 수박, 배추와 같은 일부 농산물의 가격 상승도 예년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해발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재배하는 여름배추는 주산지인 강원도지역의 폭염과 가뭄으로 생육 부진이 우려되었다. 특히, 강릉 등 강원 동부지역에 가뭄이 심해짐에 따라 긴급 급수차량, 이동식 급수장비 등을 지원하여 정식(아주심기)을 차질 없이 마무리 하였다. 한국농업유통법인연합회 이광형 사무총장은 “이번 주에 내리는 비로 가뭄이 해소되고, 서늘한 날씨가 당분간 이어지면 배추 작황도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예기치 못한 집중호우나 폭염·가뭄으로 피해가 발생할 것에 대비해 관·배수시설을 정비·확충하고, 방제 약제 지원과 함께 생육초기 배추가 고사하거나 유실되는 경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