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경농 "논 잡초!... 발생 전에 예방이 핵심!"

-(주)경농, 제초제 저항성 시대, 사전 방제로 답을 찾다
- 잡초는 물론, 논조류까지 한번에 ‘피쓰리’, ‘엔페라’ 추천

 

본격적인 수도 이앙 준비가 시작되면서 논 잡초 방제에 대한 농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잡초의 생육 시기가 빨라지고, 일부 초종은 기존 제초제에 내성이 생기면서 방제 효과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피,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등은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초기에 놓치면 확산 속도가 빨라 논 전체를 위협하게 된다. 여기에 논조류(이끼) 발생까지 겹치면 방제의 복잡도와 노동력은 배가된다.


이에 농가에서는 더이상 단일 시기의 약제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 ‘이앙 전 방제’와 ‘이앙 동시 방제’의 체계적인 약제 활용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주)경농은 이 같은 변화에 발맞춰 이앙 전 처리제 ‘피쓰리’, 이앙 동시 처리제 ‘엔페라’를 통해 다양한 초종과 저항성 잡초, 그리고 논조류까지 폭넓게 방제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안하고 있다.

 

이앙 전 처리제 ‘피쓰리’, 논조류까지 방제하는 강한 초반 제어력


(주)경농의 대표 이앙 전 처리제인 ‘피쓰리 유현탁제’는 피를 비롯한 일년생 잡초 방제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며, 잔효력이 우수해 긴 시간 동안 억제력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설포닐우레아계(SU계)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는 물달개비, 알방동사니에도 강한 약효를 보이며, 다양한 초종이 혼재한 논에서도 효과적인 초기 방제를 실현한다.

‘피쓰리’의 또다른 차별점으로 논조류(이끼)까지 방제가 가능한 피라클로닐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이끼로 인해 벼 뿌리 활착에 방해가 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깔끔한 논 바닥 유지와 함께, 이후 이앙과 생육 전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많은 농가에서 선호하는 제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2025년 신제품 ‘엔페라’, 약해 걱정 없는 안전한 이앙 동시 제초제


최근 논농가 사이에서는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이앙 동시 제초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 SU계 제초제의 경우 약해 발생 가능성이 있어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주)경농이 2025년 새롭게 출시한 ‘엔페라 입제’는 이러한 시장의 니즈를 반영해 개발된 비(非)SU계 제초제로, 약해에 대한 안전성이 뛰어나며 모든 벼 품종에 적용 가능하다.


‘엔페라’는 피, 물달개비 등 대표 저항성 초종은 물론, 논조류 억제에도 효과가 있는 제초제다. 이앙과 동시에 살포가 가능해 별도의 방제 작업 없이도 긴 잔효력을 자랑하며, 이앙 후 약 40일까지 약효가 유지되는 것이 강점이다.

특히, 중기 제초제 살포 전까지 잡초 확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이후 관리까지 연계되는 탁월한 방제 흐름을 제공한다.

다만, ‘엔페라’를 포함한 모든 이앙 동시 제초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논 바닥을 평평하게 정리하고, 써레질 후 3일 이내 이앙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제초제가 직접 벼 뿌리에 닿아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포장 상태와 물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주)경농의 제품개발팀 남윤정 PM은 “최근 논 재배 환경은 저항성 잡초와 기후 불안정이라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다”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방제 시기에 따라 적합한 제초제를 선택하는 것이 생육 및 수확량 증대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농은 앞으로도 방제 효율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다양한 고기능성 제초제를 지속 개발하여 농가의 안정적인 생산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추천하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