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청,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확산 방지에 총력

- 이미라 산림청 차장 “경상지역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심각"
- "경북 542억 원, 경남 357억 원을 투입해 총력 방제 추진 계획”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경상북도 경주시와 경상남도 김해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지에서 피해 확산 방지 및 방제 효과 제고를 위한 현장점검을 실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점검에서는 경상북도·경주시, 경상남도·김해시, 국립산림과학원, 한국임업진흥원 등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해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전략과 수종 전환의 필요성을 공유하며, 발생지역 특성을 고려한 방제 방안을 논의했다.

김해시는 최근 소나무재선충병의 증가세가 뚜렷해짐에 따라, 매년 반복되는 피해가 발생하는 집단 피해지에 대해서는 활엽수는 남기고 소나무류는 모두 베어낸 후 새로운 숲을 조성하는 수종 전환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경주시는 오는 10월 개최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있어, 재선충병의 확산을 막고 경관보호를 위해 총력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이미라 산림청 차장은 “경상지역에는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심각한 지역이 많아 경북 542억 원, 경남 357억 원을 투입해 총력 방제를 추진할 계획이다”라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행정력 또한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버섯 농가들 버섯배지 뒷처리 고충 심각... 폐기물 대책마련 강력 호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정읍·고창)은 8월 19일 버섯산업의 발전 방안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버섯생산자연합회(회장 김민수)와 버섯전문가를 비롯해 지역에서 버섯을 재배하는 농업인 등과 버섯산업발전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전북버섯연구회 모준근 회장, 전북기술원 허병수 연구사와 정읍·고창의 버섯농가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버섯생산자연합회 김민수 회장과 버섯재배 농업인들은 현행법상 버섯재배용으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버섯농가가 별도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등록해야 한다. 폐기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은 고스란히 농가의 몫임을 지적한 후 “버섯배지를 폐기물관리법 대상에서 제외하기 위해 15년 전부터 정부에 (가칭)버섯산업발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등을 요구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윤 의원에게 제도개선과 법제정에 힘을 보태달라고 요청했다. 한 해에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약 70~90만 톤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적고, 사료와 비료는 물론 친환경 건축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음에도 폐기물 배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