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농작물 방제법 궁금할 땐, 유튜브 말고’… 전문기관 운영 채널

과학적으로 미검증된 농작물 방제법, 사회관계망(SNS)에 확산 … 주의 당부
공신력 있는 전문기관에서 검증, 제공하는 농업정보만 믿을 수 있어
‘농사로’, ‘농업ON’, ‘AgriEDU’ 등에서 검증된 정보 확인, 피해 예방 첫걸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최근 유튜브 등 사회관계망(SNS)을 통해 락스‧소주‧식초 등을 활용한 검증되지 않은 병해충‧잡초 방제법이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러한 방제법 등은 일부 효과가 있을 수도 있지만, 투입 대비 효과성, 경제성 등이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아 피해 위험이 크다. 또한, 천적 피해, 작물 생리 장애, 토양 환경 등 농업 생태계에서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농작물 방제법 사용 등을 고려할 때는 농산물우수관리(GAP) 인증 취득, 친환경농업 등 영농계획에 따라 관련 제도에 적합한 방법을 확인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농업인이 농작물 방제법 등 관련 영농기술 정보를 검색할 때는 공신력 있는 농업정보를 제공하는 농식품부, 농진청 등 전문기관에서 운영하는 누리집이나 공식 사회관계망(SNS) 채널을 통해 정확한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농식품부와 농진청은 앞으로도 농업인과 국민이 농작물 관리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영농기술, 경영관리, 텃밭관리 등 다양한 콘텐츠를 지속해서 확대, 제공할 계획이다. 


유튜브 등 온라인상에서 소개하는 콘텐츠 중 사실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거나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를 발견할 경우, 농식품부, 농진청에 문의하거나 신고하면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있고, 검증된 영농정보 등도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농진청 오기원 대변인은 “잘못된 영농정보로 농업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농업 현장에서 필요한 맞춤형 영농정보 제공과 기술 지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며 “농업기술 공식 포털 농사로를 적극 활용해 달라.”라고 당부했다.


농식품부 전한영 대변인은 “누구든지 쉽게 정보를 생산하고 부정확한 정보가 넘쳐나는 정보과잉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는 정확하고 과학적인 정보를 가려내는 지혜가 필요하다.”라며, “농가에서는 재배계획, 경영환경 등에 따라 적합한 관리 방법을 찾고,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의 공식 온라인 채널을 통해 올바른 정보를 확인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국민 호흡기 건강, 잎들깨 식물특허 ‘숨들’로 지킨다
국내 잎들깨는 로즈마린산을 비롯한 항산화 성분과 정유 성분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의학서 ‘동의보감’에 ‘들깻잎’이 기를 상하로 소통시키고, 기침, 천식 등을 치료한다’라는 기록도 있다.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과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서 소아 알레르기 질환 등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호흡기 건강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미세먼지로 인한 기관지 염증을 완화하고 호흡기 건강개선에 효과가 있는 국산 잎들깨 ‘숨들’을 육성하고, 그 효능을 과학으로 입증했다. ‘숨들’은 ‘숨쉬기 편하게 하는 들깨’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약 200종의 잎들깨 자원에서 호흡기 건강개선 효과가 뛰어난 자원 56종을 1차 선발하고, 대량검정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염증 및 점액 과분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자원으로 최종 선발한 잎들깨를 식물특허로 육성했다. ‘숨들’ 잎 추출물을 미세먼지(PM2.5)로 자극한 인체 유래 비강 세포에 처리(in vitro, 세포실험)했을 때, 기관지 염증이 대조 품종(‘남천’) 대비 2.8배 감소했으며, 과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