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A2우유 등…프리미엄 우유 시장 확대

-연세유업 ‘세브란스 전용목장 A2단백우유’, 누적 판매량 500만개 돌파
-매일유업 ‘상하목장 유기농 우유’, 넓은 초지 갖춘 유기농 전용목장서 생산

우리나라 올해 출산율이 0.6명대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그만큼 귀해진 한 자녀에게 더 좋은 것을 주고자 하는 이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유업계의 주력 상품으로 ‘백색우유(흰 우유)’의 소비 트렌드에도 변화가 생기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2022년 국립축산과학원이 진행한 ‘코로나19 이후 소비자의 우유·유제품 소비 행태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유제품 취식 빈도는 발효유, 치즈 등에 비해 ‘우유(41.9%)’가 가장 높았으며, 주로 마시는 우유 1순위는 여전히 ‘백색우유(59.3%)’가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유업계는 ‘VIB족(Very Important Baby)’으로 불리는 소비자를 공략하기 위해 백색우유의 프리미엄화로 정공법을 펼치고 있다.

과거의 프리미엄 우유는 젖소에게 제공되는 사료 품질에 초점을 맞춘 ‘유기농 우유’가 주를 이뤘다. 최근에는 연세유업부터 서울우유까지 모유와 유사한 단백질 구조로 알려진 A2단백을 활용해 우유 성분 자체가 차별화된 'A2우유'를 내놓으며 카테고리 세분화에 나섰다. 이렇듯 유업계는 유기농 우유부터 A2우유까지 소비자의 선택폭을 더욱 넓히며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 연세유업 ‘세브란스 전용목장 A2단백우유’, 누적 판매량 500만개 돌파
 
연세유업의 ‘세브란스 전용목장 A2단백우유(이하 A2단백우유)’는 출시 8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500만 개를 넘어섰다. 출시 6개월간 300만 개를 넘은 것에 비해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소화 불편감을 일으키는 A1단백질 없이 ‘A2단백원유’만 담은 A2단백우유는 가열처리 외 별도로 추가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기존 프리미엄을 내세운 우유들이 젖소 사료 등에 차별점을 두었을 뿐 일반우유와 성분이 동일한 데 반해 A2단백우유는 단백질 성분 자체가 다르다는 것이 연세유업의 설명이다. 유당 불내증이 아님에도 우유 섭취 시 소화 불편감을 느낀다면 단백질 성분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제품 생산을 위해 국내 전용목장에서 젖소를 분리 집유하여 1급 A등급의 A2원유를 생산하고 있으며, 지난 1월 냉장 제품으로 ‘2024 국제식음료품평회’에서 ‘국제 우수 미각상’ 최고등급인 ‘3스타’를 수상하기도 했다.

■ 매일유업 ‘상하목장 유기농 우유’, 넓은 초지 갖춘 유기농 전용목장서 생산

매일유업의 유기농·친환경 브랜드 상하목장은 ‘자연에게 좋은 것이 사람에게도 좋다’라는 브랜드 철학 아래 유아부터 청소년, 성인까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이 중, 2008년 출시한 ‘상하목장 유기농 우유’는 유기농 전용목장의 우유만 사용하고 있으며, 해당 목장은 젖소들이 쾌적하도록 초지와 방목장 등의 축사 면적을 달리하고 있다. 또한 자연 그대로의 방식으로 100% 유기농 목초와 사료만 먹이는 것이 특징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국민 호흡기 건강, 잎들깨 식물특허 ‘숨들’로 지킨다
국내 잎들깨는 로즈마린산을 비롯한 항산화 성분과 정유 성분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의학서 ‘동의보감’에 ‘들깻잎’이 기를 상하로 소통시키고, 기침, 천식 등을 치료한다’라는 기록도 있다.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과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서 소아 알레르기 질환 등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호흡기 건강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미세먼지로 인한 기관지 염증을 완화하고 호흡기 건강개선에 효과가 있는 국산 잎들깨 ‘숨들’을 육성하고, 그 효능을 과학으로 입증했다. ‘숨들’은 ‘숨쉬기 편하게 하는 들깨’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약 200종의 잎들깨 자원에서 호흡기 건강개선 효과가 뛰어난 자원 56종을 1차 선발하고, 대량검정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염증 및 점액 과분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자원으로 최종 선발한 잎들깨를 식물특허로 육성했다. ‘숨들’ 잎 추출물을 미세먼지(PM2.5)로 자극한 인체 유래 비강 세포에 처리(in vitro, 세포실험)했을 때, 기관지 염증이 대조 품종(‘남천’) 대비 2.8배 감소했으며, 과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