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농정원, ‘가래떡데이’...우리 쌀 '떡' 나눔행사

- 11월 11일, 농업인의 날과 함께 우리 먹거리의 소중함 되새겨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이종순, 이하 농정원)은 오는 11월 11일 ‘가래떡데이’를 맞이하여, 임직원을 대상으로 국산 멥쌀로 만든 가래떡과 쌀조청 나눔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행사는 우리 먹거리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날을 기념하기 위하여 마련됐으며, 이종순 원장과 안재록 총괄본부장, 조경익 농업가치본부장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쌀 소비 촉진 독려의 일환이기도 한 행사는 가래떡의 길쭉한 모양이 11월 11일의 숫자 모양과 닮아, 지난 2006년부터 지정돼 전국적으로 다양한 행사가 열리고 있다. 국산 쌀 소비 활성화에 앞장서는 농정원 또한 매년 대내외 행사를 통해 ‘가래떡 데이’를 기념하고 있다.

 


농정원 이종순 원장은 “국산 쌀로 만든 떡과 조청을 나누며 직원들과 우리 먹거리의 가치에 대해 공유할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었다.”며 “오늘날 식습관의 변화에 따라 국민분들께 쌀 소비 활성화에 대해 더 유익하고 긍정적인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만큼, 농정원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겠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