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촌진흥청, 2023년 예산 1조 2,547억 원 확정...국정과제 이행과 현안 해결에 중점

- 식량주권 확보 지원 등 21개 사업 583억 원 신규 사업 추진
- 2023년 농촌진흥청 예산 규모는 2022년 예산 1조 1,893억 원보다 654억 원 증액(5.5%)된 1조 2,547억 원 규모
- 2023년 예산은 사업비 1조 624억 원, 인건비 1,629억 원, 기본 경비 244억 원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의 2023년 예산이 올해(1조 1,893억 원)보다 654억 원(5.5%) 증가한 1조 2,547억 원으로 확정됐다.

최근 농촌진흥청의 5년간 연도별 예산(전년 대비 증가율) 배정추이를 보면 (’19) 9,405억 원(0.2%)→(’20) 10,249(9.0) →(’21) 10,961(7.0)→(’22) 11,893(8.4)→(’23) 12,547(5.5)억원이었다.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파속채소연구소 구축’(6억 원, 신규), ‘과수디지털농업실증연구소 구축’(8억 원, 신규), ‘국립참외연구소 구축’(2억 원, 신규),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모델’(5억 원, 추가반영) 등 5개 사업에 22억 원이 추가 반영됐다.

농촌진흥청은 2023년도 예산을 토대로 농업・농촌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 구현을 위한 식량주권 확보·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등 국정과제 이행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촌 활성화 및 현장 지원 강화 등 현안 해결과 한국 농업기술의 세계화 확산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내년도 주요 6개 부문별 예산은 ①밀・콩・쌀가루 식량자급률 향상 등 식량주권 확보 지원 1,343억 원 ②농축산물 안정생산 기술 확산 1,575억 원 ③스마트농업 기술, 탄소중립, 그린바이오 등 신기술 활용 기술개발 등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2,384억 원 ④농산업 현장 문제 해결 지원 강화 3,745억 원 ⑤농업・농촌 활력 제고 및 지역농업 활성화 1,073억 원 ⑥한국 농업기술의 글로벌 확산 554억 원이 편성됐다.

특히 농촌 고령화와 인구감소, 기후변화, 국제 곡물 가격 상승 등 현안 해결에 필요한 예산 583억 원을 반영해 21개 사업을 신규 추진한다. 새 정부의 건전재정 정책 기조를 감안할 때 눈에 띄는 성과다.

 

- 식량주권 확보,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등 국정과제 이행을 적극적으로 지원
- 농촌 활성화와 현장 지원 강화 등 현안 해결과 한국 농업기술의 세계화 확산 등에 중점
- 신규사업 21개 583억 원 규모...농축산물 안정생산 기술 확산 분야 5개 사업 158억 원


신규 사업의 주요 부문별 예산은 ①식량주권 확보 지원 144억 원(3개 사업) ②농축산물 안정생산 기술 확산 158억 원(5개 사업) ③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164억 원(7개 사업) ④농산업 현장 문제 해결 지원 강화 66억 원(4개 사업) ⑤한국 농업기술의 글로벌 확산 51억 원(2개 사업) 등이다.

◇ 식량주권 확보 지원

기초 식량(밀, 콩 등) 중심으로 자급률을 높이고, 국산 농산물 수요 확대와 안전 먹거리 생산을 위해 ▲간척지 첨단농업 기술개발(20억 원) ▲밀・콩・쌀가루 등 식량자급률 향상모델 기반조성(76억 원) ▲작물 융복합 및 현장 실증연구(48억 원)를 새로 추진한다.

◇ 농축산물 안정생산 기술 확산

재해에 강한 품종 육성과 농축산물의 피해경감 기술을 개발하여 현장에 확산하고, 농산물의 저장기간을 연장하는 수확 후 관리기술을 개발하여 수급 안정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파속채소연구소 구축(6억 원) ▲파속채소시험연구(20억 원) ▲과수 무병화묘 인증 및 보급 기반구축(23억 원) ▲원예특작 융복합 및 현장 실증연구(44억 원) ▲축산 융복합 및 현장 실증연구(65억 원)를 신규 반영했다.

특히 파속 채소 산업발전 및 경쟁력 강화를 선도할 파속채소연구소를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전남 무안군 무안읍 일원(200,418㎡)에 총 345억 원을 투입해 구축한다. 파속채소연구소에서는 국산 신품종 파속 채소(파, 마늘, 양파 등) 육성, 안정생산기술 개발, 가공·수확 후 관리기술 개발 및 확산·보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지원

농축산 분야 혁신 생태계 조성, 환경친화적 농축산업 전환 등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구현을 위해 기술혁신, 기반시설(인프라) 확충을 지원하고, 스마트농업 기술, 탄소중립, 그린바이오 등 신기술 활용 기술개발과 청 연구ㆍ현장ㆍ전문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통합플랫폼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과수디지털농업실증연구소 구축(8억 원) ▲농업R&D데이터 수집 공유 플랫폼 구축(23억 원) ▲농업용 로봇 실증단지 조성(30억 원) ▲농축산분야 탄소 저감기술 이행기반 구축(37억 원) ▲전기식 농기계 배터리 검정기반 구축(11억 원) ▲시설재배 부산물 재활용 기술개발(10억 원) ▲공공성 확보를 위한 국가 기반 육종플랫폼 개발(45억 원)을 새로 추진한다.

과수 농가의 디지털화를 선도할 과수디지털농업실증연구소를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충북 충주시 동량면 일원(200,730㎡)에 총 420억 원을 투입해 구축한다.

 


농업 인구 감소 및 고령화로 인한 노지 농가의 노동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수 농가 맞춤형 스마트 농업기술 모델링(설계) 및 실증, 선행 개발된 연구성과 실증 및 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농산업 현장 문제 해결 지원 강화

일손이 많이 드는 밭작물의 복합‧범용형 농기계 개발을 확대하고, 이상기상에 대응한 꿀벌 강건성 연구와 꿀벌 우수품종의 농가 보급을 위해 증식장을 조성한다. 이를 위해 ▲현장 맞춤형 다목적 밭농업기계 개발(13억 원) ▲꿀벌 강건성 연구(15억 원) ▲꿀벌자원 육성품종 증식장 조성(36억 원) ▲국립참외연구소 구축(2억 원)을 신규 반영했다.

◇ 한국 농업기술의 글로벌 확산

대륙별 협의체를 통한 공통의 현안 해결을 강화하고, 우리 농산물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 수출 유망품목을 중점 육성한다.
이를 위해 ▲국제 농업R&D 이니셔티브 협력(10억 원) ▲다자간 자유무역협정 대응 수출농업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41억 원)을 신규 추진한다.

또한, 축산자원개발부 이전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내년도 예산을 올해(319억 원)보다 621억 원(194.2%) 증가한 940억 원으로 편성해 지원한다.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식량안보를 강화하고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를 앞당길 수 있는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국정과제 이행을 뒷받침하겠다.”라며 “아울러 농업・농촌이 당면한 현안 해결에 기관의 역량을 집중하여 농업인과 국민 여러분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촌진흥청, 스마트팜 '청년 창업농'...정착지원 점검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한 중점 추진 과제의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해 10월 15일 전남 영암에 있는 무화과 스마트팜 청년 창업 농가를 방문, 운영 현황을 살피고 안정 지원책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방문한 청년 창업 농가는 지난해 스마트팜을 구축한 후 무화과를 재배해 백화점, 온라인 등에서 판매하고 있다. 이 청장은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팜에서 무화과가 재배되는 현황을 둘러보고 농장 운영 상황에 대해 자세히 들었다. 이 자리에서 농가 대표는 청년 창업농, 귀농인이 농촌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이 꾸준히 제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청장은 이에 공감하며, 스마트팜 도입 초기 시설 투자 비용을 줄이는 방법과 생육 관리 데이터 분석‧활용 교육 지원책 등 다양한 지원 방안에 대해 의견을 피력했다. 이와 함께 이 청장은 “최근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스마트팜 융합 모형을 적용하면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설치비 부담을 줄이고, 개별 스마트팜 기술을 골라 적용하거나 묶음으로 설치할 수 있다.”라고 소개했다. 이 기술이 보급되면 스마트팜 환경 관리 지능화, 농작업 자동화, 에너지 최적화를 구축해 작물 생산성과 농가 소득 증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촌진흥청, 스마트팜 '청년 창업농'...정착지원 점검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한 중점 추진 과제의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해 10월 15일 전남 영암에 있는 무화과 스마트팜 청년 창업 농가를 방문, 운영 현황을 살피고 안정 지원책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방문한 청년 창업 농가는 지난해 스마트팜을 구축한 후 무화과를 재배해 백화점, 온라인 등에서 판매하고 있다. 이 청장은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팜에서 무화과가 재배되는 현황을 둘러보고 농장 운영 상황에 대해 자세히 들었다. 이 자리에서 농가 대표는 청년 창업농, 귀농인이 농촌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이 꾸준히 제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청장은 이에 공감하며, 스마트팜 도입 초기 시설 투자 비용을 줄이는 방법과 생육 관리 데이터 분석‧활용 교육 지원책 등 다양한 지원 방안에 대해 의견을 피력했다. 이와 함께 이 청장은 “최근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스마트팜 융합 모형을 적용하면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설치비 부담을 줄이고, 개별 스마트팜 기술을 골라 적용하거나 묶음으로 설치할 수 있다.”라고 소개했다. 이 기술이 보급되면 스마트팜 환경 관리 지능화, 농작업 자동화, 에너지 최적화를 구축해 작물 생산성과 농가 소득 증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