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세계최대 ‘서울우유’ 신공장 건설 ‘첫삽’ 떠

송용헌 서울우유협동조합장 "신공장 13일 기공식…70개 유제품‧1일 5백만개씩 우유생산 가능"

세계최대 서울우유공장건설 첫삽

송용헌 서울우유협동조합장 "신공장 13일 기공식70개 유제품15백만개씩 우유생산 가능" 

13일 양주시 서울우유 산업단지에서 관계자 1천여명 참석한 가운데 양주통합공장 기공식

신규 고용창출, 지역관광 프로그램 연계한 6차 산업 활성화 등 지역사회와 상생효과 기대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송용헌)이 오는 13일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 서울우유 일반산업단지 부지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종합 유가공장 신축을 위한 기공식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기공식에는 서울우유협동조합 송용헌 조합장, 이성호 양주시장 등 관계자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될 예정이며, 서울우유는 이날 기공식을 시작으로 201712월까지 건축공사에 필요한 부지개발을 완료하고, 20181월 건축을 착공하여 20209월 준공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양주 통합 신공장은 서울우유가 기존 양주, 용인공장의 통합 이전을 위해 추진하게 된 오랜 숙원 사업으로, 부지 194,770에 사무동, 공장동, 유틸리티동, 가공품동, 창고동 등 연면적 62,747의 건축물이 들어서며 건축 및 설비 투자 금액은 약 3,000억원에 달한다.

양주 통합 신공장은 우유 200ml 기준 일 최대 500만 개를 생산 가능하고 일 최대 1,690톤의 원유를 처리할 수 있으며, 단일공장 내에서 우유, 가공유, 분유, 버터 등 70개 품목 이상의 유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종합 유가공장이 될 전망이다. 

또한 양주 통합 신공장은 주변 자연 환경과의 조화를 감안한 부지개발과 건축설계, 에너지 절감형 고효율 설비 및 시설을 도입한 친환경 공장으로 구현될 예정이며, 원유의 집유에 생산 및 출하까지의 전 과정 모니터링과 이력 추적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첨단 I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형 공장이 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양주 통합 신공장은 집유, 생산, 출하를 위한 약 800여 명의 직간접적인 신규 고용창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서울우유는 지역관광 프로그램과 연계한 공장견학 및 체험시설을 운용해 지역 내 유입인구 증가와 그에 따른 6차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우유협동조합 송용헌 조합장은 서울우유의 오랜 숙원 사업인 양주 통합 신공장은 80년간 축적한 서울우유의 유가공 기술력의 집약체라며 앞으로 서울우유는 양주 통합 신공장을 통해 국내 우유시장 1위 자리를 견고히 하고, 더 나아가 국내 낙농산업의 새로운 역사와 유가공장의 롤모델 제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지난해 출시한 100%우유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체세포수 1등급이라는 좋은 우유의 새로운 선택 기준을 제시하여 우유 품질의 혁신을 이뤘다. 현재 국내 전체 우유 유통시장 점유율은 서울우유 35.4%, 남양유업 15.2%, 매일유업 14.9%(AC닐슨, 20172월 기준)로 서울우유가 1위 자리를 굳건히 유지하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