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차한잔...박기훈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장

“국산밀 수요창출 위한 기능성 향상돼”

-국산밀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술적 대응 방안은?

첫째, 초다수성, 내재해성 품종 개발로 재배면적 확대와 생산성을 향상시키겠습니다.

둘째, 기계화 일관작업 체계 개발과 대규모 단지조성을 실시해 생산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셋째, 용도별 품종 보급과 산물처리 체계구축을 통해 국산밀의 품질을 향상시키겠습니다.

 

-국산 밀 소비확대를 위한 노력과 성과는?

첫째, 수요창출을 위해 국산밀의 이용성 증진과 기능성을 향상시켰습니다.

밀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가공기술 개발과 적합 품종 선발과 폴리페놀, 미네랄(Fe, Zn), 식이섬유기능성 성분 향상시켜놨습니다.

둘째, 가공제품에 알맞은 최적 혼합 비율 설정 등의 가공기술을 개발했습니다.

가공특성별 국산밀과 국산밀, 국산밀과 수입밀의 혼합비율, 혼합 밀가루를 사용한 가공품의 품질 분석과 매뉴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셋째, 산업화를 위해 지역 특산품 연계 산업화와 항구적인 소비처를 개발해 나가고 있습니다.

안 우리 밀 호두과자(400톤), 서천 한산 소곡주(30톤), 우리 밀 과자 등료용, 주정용, 녹비용, 학교급식, 군납 등 다양한 소비자원을 개발하고 있죠.

 

-현재까지 국산밀 품종 육성 현황은?

1970년부터 현재 까지 35품종이 개발됐으며, 빵용으로 ‘조경밀’(1품종), 과자용으로 ‘고소밀’ 등 3품종, 국수용으로 ‘백중밀’과 ‘금강밀’ 등 28품종, 취반용으로 ‘백찰밀’ 등 3품종을 개발했습니다.

 

-주정용에 적합한 특성은 무엇인가요?

품질면에서는 단백질함량이 12∼14%, 전분함량이 60% 이하가 요구되고, 막걸리를 만들었을 때 뽀얀 색을 내는 백립계 품종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현재 금강밀과 조경밀이 적합해 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국산밀 산업화를 위해 산업체와는 어떻게 연계가 이루어지는지?

국산밀의 산업화를 위해 용도별 품종 보급과 재배기술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산밀 가공 산업체와 업무협약(MOU)체결과 농촌진흥청 연구개발(R&D) 연구과제를 산학연 함께 추진해 국산밀 가공제품 개발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전주= 나남길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