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차한잔...박기훈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장

“국산밀 수요창출 위한 기능성 향상돼”

-국산밀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술적 대응 방안은?

첫째, 초다수성, 내재해성 품종 개발로 재배면적 확대와 생산성을 향상시키겠습니다.

둘째, 기계화 일관작업 체계 개발과 대규모 단지조성을 실시해 생산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셋째, 용도별 품종 보급과 산물처리 체계구축을 통해 국산밀의 품질을 향상시키겠습니다.

 

-국산 밀 소비확대를 위한 노력과 성과는?

첫째, 수요창출을 위해 국산밀의 이용성 증진과 기능성을 향상시켰습니다.

밀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가공기술 개발과 적합 품종 선발과 폴리페놀, 미네랄(Fe, Zn), 식이섬유기능성 성분 향상시켜놨습니다.

둘째, 가공제품에 알맞은 최적 혼합 비율 설정 등의 가공기술을 개발했습니다.

가공특성별 국산밀과 국산밀, 국산밀과 수입밀의 혼합비율, 혼합 밀가루를 사용한 가공품의 품질 분석과 매뉴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셋째, 산업화를 위해 지역 특산품 연계 산업화와 항구적인 소비처를 개발해 나가고 있습니다.

안 우리 밀 호두과자(400톤), 서천 한산 소곡주(30톤), 우리 밀 과자 등료용, 주정용, 녹비용, 학교급식, 군납 등 다양한 소비자원을 개발하고 있죠.

 

-현재까지 국산밀 품종 육성 현황은?

1970년부터 현재 까지 35품종이 개발됐으며, 빵용으로 ‘조경밀’(1품종), 과자용으로 ‘고소밀’ 등 3품종, 국수용으로 ‘백중밀’과 ‘금강밀’ 등 28품종, 취반용으로 ‘백찰밀’ 등 3품종을 개발했습니다.

 

-주정용에 적합한 특성은 무엇인가요?

품질면에서는 단백질함량이 12∼14%, 전분함량이 60% 이하가 요구되고, 막걸리를 만들었을 때 뽀얀 색을 내는 백립계 품종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현재 금강밀과 조경밀이 적합해 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국산밀 산업화를 위해 산업체와는 어떻게 연계가 이루어지는지?

국산밀의 산업화를 위해 용도별 품종 보급과 재배기술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산밀 가공 산업체와 업무협약(MOU)체결과 농촌진흥청 연구개발(R&D) 연구과제를 산학연 함께 추진해 국산밀 가공제품 개발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전주= 나남길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도드람양돈농협, 창립 35주년 기념행사 성황리 개최
도드람양돈농협(조합장 박광욱)은 지난 14일 대전 유성구 호텔ICC에서 창립 35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조합원과 임직원, 내외빈 등 3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협동의 발자취를 되새기며 미래 성장을 위한 새로운 비전과 의지를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1부 기념식과 2부 조합원 화합 행사로 나뉘어 진행됐다. 1부에서는 개회 및 내빈 소개에 이어 도드람의 35년 역사를 예술적으로 재해석한 샌드아트 공연이 펼쳐졌다. 공연은 협동으로 출발해 한돈 산업의 미래를 개척해 온 도드람의 여정을 서사적으로 표현해 큰 감동을 선사했다. 이어진 감사패 수여식에서는 오랜 기간 조합의 발전과 경제사업에 헌신한 조합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날의 하이라이트인 ‘비전 2030 선포식’에서는 중장기적으로 도드람이 나아갈 방향성을 공식 선언했다. 비전선포, 비전영상 상영, 퍼포먼스, 피날레 및 기념촬영으로 이어진 프로그램은 도드람이 전문식품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가치인 ‘협동·신뢰·혁신’을 상징적으로 담아냈다. 도드람은 이번 선포를 통해 ‘맛있는 문화로 만들어가는 더 건강한 행복’을 미션으로, ‘고객·조합원·임직원이 함께하는 전문식품 브랜드’를 비전으로 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