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전망대

농업관측센터, 1월 축산관측 '육계' 산지가격 ‘1,800~2,000원’ 예측!

농업관측센터, 1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보다 3.7% 증가한 6,587만 마리 전망

<축산관측/ 육계 산지가격?>육계도표~~~

1월 육계 산지가격 ‘1,8002,000예측!

농업관측센터, 1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보다 3.7% 증가한 6,587만 마리 전망

 

냉동 비축물량 전년 대비 230% 증가한 1,050만 마리

13월 국내산 닭고기 수요 전년보다 증가 전망

 

사육동향= 11월 종계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대비 0.9% 증가한 23,280톤이었다.

11월 육용 종계 사육 마릿수는 육성계와 성계 사육이 각각 5.7%, 5.4% 증가하여 전년 동월보다 5.5% 증가한 851만 마리로 추정된다.

1011월 생산성이 떨어지는 종계가 도태됨에 따라 육용 실용계 병아리 품질이 전보다 좋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12월 큰 일교차와 호흡기 질환으로 종계 생산성은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중앙자문회의 결과). 농업관측센터 육계 표본농가 조사결과, 12월 육계 출하일령은 전년보다 앞당겨지고, 출하체중은 전년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폐사율이 전년보다 0.96%p 감소하여 육계 생산성은 전년보다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11월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12월 병아리 생산량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5,965만 마리로 추정된다. 병아리 생산이 증가하여, 내년 1월 육계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3.4% 증가한 7,155만 마리로 전망된다.

수급동향= 1월 도계 마릿수는 육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전년 동월보다 3.7% 증가한 6,587만 마리로 전망된다.11월 검사실적 기준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월보다 1.9% 증가한 8,011톤이었다. 미국에서 HPAI 발생으로 닭고기 수입이 금지됨에 따라 20151월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월보다 64.0% 감소한 4,136톤으로 전망된다. 1116일 기준 냉동 비축물량은 지속적인 닭고기 생산 증가와 수요 감소로 전년보다 230% 증가한 1,050만 마리였다. 도계 마릿수와 비축물량은 증가하지만 수입량 감소로 닭고기 공급량은 전년수준으로 예상된다. 1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8,175만 마리로 전망된다.

미국산 닭고기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수입닭고기가 국내산 닭고기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닭고기 대체효과로 1월 국내산 닭고기 수요는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육계가격전망= 11월 보합세를 보이던 육계 산지가격은 12월 들어 하락세로 전환되었다.

12(124) 육계 산지가격은 생체 kg1,611(농협발표가격 기준)으로 전년 동월(1,655)에 비해 2.6% 하락하였다. 12월 닭고기 소비자가격은 산지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년보다 12.4% 하락한 5,170/kg이다.

1월 닭고기 공급은 전년 수준이지만, 수요는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상승한 생체 kg당 산지가격은 1,8002,000원으로 전망된다. 11월 육용종계 도태 마릿수는 635천 마리로 전년보다 3.3% 감소하였다. 동월 육용종계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동월 대비 1.4% 증가한 626천 마리였다.

2014년 종계 병아리가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입식되어, 2015년 상반기 실용계 병아리 생산잠재력 지수도 전년수준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계열업체들의 닭고기 생산 증가를 위한 종계 환우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원종계 수입차질로 6월 이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AI가 장기화 될 경우, 원종계의 수입이 지연되면서 육계 산업전체가 큰 혼란에 빠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종계확보를 위한 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 환우로 인한 종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23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23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보다 각각 3.5%, 1.2% 증가한 6,687, 6,345만 마리로 전망된다.

23월 도계 마릿수는 증가하지만, AI로 인한 수요 감소폭이 줄고 수입 닭고기 대체효과로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2월 육계 산지가격은 1,9002,100/kg, 3월은 2,0002,200/kg으로 전망된다. <자료제공= KREI 농업관측센터>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