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 정보량 조사…관심도 하락

'사회적 거리두기?' 나몰랑…SNS등 관심도, 정점 비해 71% 급감
SNS 4개 채널, 커뮤니티, 유튜브 등 6개 채널 '캠페인' 총 정보량 조사
25일 정보량, 지난 5일 比 71.21% 감소…직전 토요일 比 31.78% 줄어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급속히 식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26일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소장 김다솜)는 지난 1일부터 25일까지 25일간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등 4개 SNS와 유튜브 및 개인의사 피력이 활발한 커뮤니티(디시인사이드, 클리앙, 뽐뿌, 인스티즈, MLBPARK, 보배드림, 루리웹, 일간베스트저장소, 오늘의유머 등)를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 정보량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지난 5일 최고 9164건에 달했던 캠페인 정보량이 점차 줄더니 25일엔 2638건으로 감소했다. 정점에 비해서는 71.21% 급감한 수치다.

 

평소 토요일 정보량이 적은 점을 감안, 직전 토요일인 18일의 3867건과 비교를 해도 1229건 31.78%나 줄었으며 지난 12일 토요일 4114건에 비해서는 1476건 55.95%나 감소했다.

 

연구소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두기 관심도가 정점에 비해서는 3분의 1 이하로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 우한의 최초 감염자 한 사람이 전세계 291만명 감염이라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확진자 0명이 나온후 최소 2~3주가 지날 때까지는 방심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강성수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