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한중FTA협상' 서두르지 말라!

무엇을 더 얻으려 생명의 창고지기 뭉게고! 또 짓밟나!

<농촌경제칼럼··· 나남길 ox7@korea.com> ‘韓·中 FTA협상’ 서두르지 말라! 시늉만 내라!···가질 만큼 가졌다! 무엇을 더 얻으려고 농수산업 짓밟을 거냐? 누가 뭐래도 중국산 농산물은 국내 유통시장의 가장 큰 가격교란의 원인 거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중국과의 무관세 자유무역협상이 진행 중이다. 문제는 이 협상이 너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데 있다. 협상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국내 농수산업의 몰락도 그만큼 빨라질 수밖에 없다는데 있다. 허기야 말 많은 이들은 ‘우리는 통상으로 먹고사는 나라’라며 국내 농업의 경쟁력을 얘기하기도 하겠지만 농촌현장의 속내를 들여다 보면 수천억원의 세금을 퍼 부어야만 그나마 속 좁은 농업경쟁력 얘기도 들이 밀수 있다. 특히, 중국과의 FTA는 국내 농수산업을 초토화 시킬 수 있는 여지가 너무도 많다는 게 이구동성이다. 때문에 중국과의 FTA협상을 꼭 진행시켜야 할 일이라면 향후 5년도 좋고 10년후도 좋고 좀 더 먼 시기에 추진해 줬으면 하는 게 농수산업계의 바램이다. 중국과의 FTA 추진은 지난 2005년 민간연구를 시작으로 검토를 해 오다 ‘이명박정부’ 들어 큰 탄력을 받고 있다. 지난 1월 한중정상회담이 끝난 직후부터는 공청회와 추진위원회심의, 협상개시선언에 이르기까지 중국 북경과 제주를 오가는 1차협상과 2차협상에 이어 오는 22일 3차협상까지, 지체없는 협상 속도를 내고 있어 막연한 불안감 마져 든다. 한국은 중국과의 FTA를 추진하지 않고도 세계 9위, 10위를 넘나들고 있고 국민소득도 2만5천 달러를 넘어서 웬만하면 다들 먹고 살만들 하다? 무엇을 더 얻기 위해 天下之大本이라는 농업의 큰 희생을 요구하는지 도무지 이해 할 수가 없는 노릇이다. FTA를 추진하고 있는 중국이라는 나라는 세계시장에서의 농업규모를 가늠해 보자면 △곡물생산량 19% △과일 19% △육류 27%를 생산하고 있어 혀를 내두를 일이다. 또 채소류 생산량은 4억5천8백만톤으로 세계가 생산하는 △채소생산량의 49%인 거의 절반을 이들이 생산하고 있는 나라가 바로 우리 이웃 나라인 中國이다! 농업을 짓밟고 자동차와 전자제품을 팔아 치우기 위해 힘으로 밀어 붙이자면 얼마든지 앞당겨 추진할 노릇도 있지만 ‘지금은 아니다’라는 말씀이다. 딱히 어렵다면 시늉만 내라!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협동조합, 마시는 유산균 ‘서울우유 요거트 프로바이오틱스 플레인’ 출시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일상에서 간편하게 장 건강을 챙길 수 있는 마시는 유산균 ‘서울우유 요거트 프로바이오틱스 플레인’을 출시하고, 드링크 요거트 제품 라인업을 확대한다. 최근 건강을 중시하는 라이프 스타일이 대세로 자리 잡은 가운데 불규칙한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가진 젊은 층을 중심으로 장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무엇보다 장 건강은 소화 기능은 물론, 면역력과도 직결되는 만큼 생활 속 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서울우유는 2024년 바쁜 일상 속에서도 간편하게 장 건강을 챙길 수 있는 마시는 유산균 제품 ‘서울우유 요거트 프로바이오틱스’ 사과·블루베리 2종을 출시해 좋은 반응을 얻은 바 있다. 이에 힘입어 이번에는 순수 발효유의 맛을 극대화한 ‘플레인’ 맛을 새롭게 선보여 드링크 요거트 제품 경쟁력을 강화한다. 신제품 ‘서울우유 요거트 프로바이오틱스 플레인’은 장내에서 유익균의 증식을 돕고, 유해균의 정착과 증식을 억제해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진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한 기능성 표시 식품이다. 제품 1개(150ml)당 15억 마리 이상의 보장균(CFU)을 함유하고 있으며, 배변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진 난소화성말토덱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원, ‘사료용 맥류 보급종 종자’ 9월 15일부터 농가 신청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이 9월 15일 오전 9시부터 사료용 맥류 4작물 4품종(청보리, 호밀, 트리티케일, 겉귀리)의 보급종 종자를 농가단위 개별신청을 받아 보급한다. 이번 신청은 ‘종자광장’ 누리집을 통해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신청도 가능하다. 신청자는 ‘종자개별신청’→ ‘신규신청’ 메뉴에서 배송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종자를 선택한 후, 입금 안내 문자를 수신 받아 입금 절차를 완료해야 한다. 입금자명과 신청자명이 일치해야 배송되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신청 가능 품종과 수량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고 신청 취소 등으로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이번에 보급되는 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북부작물연구센터에서 육성한 청보리 ‘유진’, 호밀 ‘대곡그린’, 트리티케일 ‘한영’, 겉귀리 ‘하이스피드’ 등으로 포장 단위는 20kg이다. 전량 미소독 상태로 공급되며, 공급가격은 청보리 36,000원, 호밀 45,000원, 트리티케일 40,000원, 겉귀리 42,000원이다. 가을에 파종하는 맥류는 겨울철을 견뎌야 하므로 파종 지역의 기후와 품종 특성을 반드시 확인한 후, 적합한 품종을 신청하길 권고한다. 청보리 ‘유진’은 1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