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첫 수확을 여는‘오사리무’

다양한 작형에서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길 열려!

그동안 멋진맛동무, 만사형통무, 청정오름무 등 다양한 제주 월동무 품종을 공급해온 농우바이오에서 조기 수확이 가능한 차세대 제주 월동무 신품종인 “오사리무” 품종을 개발하여 올해부터 본격 공급한다고 밝혔다.

오사리란 이른 철에 수확되는 농작물을 뜻하는 말로써 조기수확이 가능한 월동무를 일컫는다.“오사리무”는 제주 월동무 작형에 파종하여 12월부터~1월중순까지 수확되는 조생종 품종으로 초세는 중간 정도로 근장이 짧고, 근미 맺힘이 빠르며, 수확기 열근 발생이 적고 근비대가 빨라 조기 수확에 적합한 장점을 가진 제주 월동무 신품종이다.

그동안 제주지역에서 기존 월동무 품종을 이용해 조기 재배를 하면서 근형 이나 밑 맺힘 불량, 수확기 열근 등의 문제로 재배에 어려움을 겪어온 제주 월동무 재배 농업인들은 이번 “오사리무” 신품종의 개발로 인해 향후 안정적으로 다양한 작형에서 제주 월동무를 재배 할 수 있게 되어 다행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농우바이오 제주사업소 정웅섭 소장은“이번 “오사리무” 품종의 공급은 제주지역 월동무 재배 농업인들에게 다양한 시기에 월동무를 재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소득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