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흑염소 농장, 폐사율 줄이는 것 중요!

‘계획적 교배관리와 구충제 투여’강조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환절기 흑염소 농장의 관리에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흑염소는 여러 마리를 집단으로 사육함에 따라 질병의 발생과 폐사율이 증가하고 폐사원인도 다양해 생산성 저하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폐사의 원인을 분석해 예방대책을 세워야 한다.

 

흑염소의 폐사 중 가장 큰 원인은 사양관리를 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추운 한겨울에 새끼가 태어나 얼어 죽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 여름철인 8월과 9월에 암수를 분리 사육해 염소의 쌍붙임을 피하는 것이 좋다. 방목이 아닌 축사에서 키울 경우 호흡기 질병을 예방하려면 축사면적당 적정마리수를 키워 밀사를 피하고, 축사의 환기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염소 폐사 원인 중 비율이 높은 설사 예방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구충제의 투여와 축사바닥의 철저한 청소 및 소독, 물통과 사료통의 세균 오염 방지, 신선한 사료 공급 등이 필요하다. 분만전후의 폐사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번식 흑염소에게 농후사료보다는 양질의 조사료 위주로 사육해야 한다. 농후사료를 많이 먹여 살이 찌면 난산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조심해야 한다. 분만 후 1주일 안에 폐사하는 경우 대부분 젖을 먹지 못해 굶어죽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미젖을 확인하고 가급적이면 초유를 빨리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새끼들이 있는 칸에는 인공유를 넣어 새끼의 성장을 돕고 설사 예방을 위해 콕시듐 예방약을 먹여야 한다. 염소의 첫 쌍붙임을 너무 빨리 실시하면 어미의 발육과 분만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적어도 암컷이 10개월경 이상에 체중이 20kg 이상에서 쌍붙임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세한 수컷 염소에서 많이 발생하는 요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염소의 거세시기를 6개월 이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농장 경영상과 편리성을 위해 어린 염소를 거세한 경우에는 사료에 염화암묘늄을 2% 정도 첨가해주면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김상우 연구사는 “흑염소 농장의 경영 성과는 폐사율 감소에 달려있다.” 라며 “계획적인 교배관리와 정기적인 구충제 투여, 허약축과 과비축의 분리사육 및 분만철 농장주의 세심한 관찰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라고 강조했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