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농우‘청어람백다다기’출시!

더위에 강하고 수량성과 저장성 우수한 백침계

농우바이오에서 이번에 내놓은‘청어람백다다기’오이는 4월 하순부터 노지, 비가림과 억제작형에서 재배가 가능한 백침계 다다기 오이 품종으로 2013년부터 본격 공급하기 시작하여 올해 전국으로 확대 판매 중에 있는 오이 품종이다. 더위에 강하고 초세 및 측지성이 우수 하고 과피색이 진한 백침계 오이로 저장성이 강한 특성과 함께 노균병과 흰가루병에 비교적 강하고 과장이 반듯하고 길어 상품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농우바이오는 우수한 품종 특성을 가진 청어람백다다기 오이 품종에 대해 2013년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등록을 진행하여 유사 품종의 난립을 예방하고, 청어람백다다기 오이를 재배하는 농가들의 권익 보호와 함께 이제 얼마 남지 않은 5월 2일 오이데이를 맞이하여 농산물시장, 대형 마트를 중심으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오이 소비 촉진 행사를 진행해 공급과 수요를 늘려 오이재배 농민의 소득 안정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청어람백다다기 오이 품종을 육성한 조병중 농우바이오 수석연구원은 1990년부터 오이 육종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더위에 강한 오이, 병에 강한 오이, 상품성 좋은 오이, 수량이 높은 오이 품종 개발을 통해 농가 소득을 높이겠다는 신념으로 24년간 오이 품종 육종에 전념하고 있는 국내 대표 오이 육종가로 알려져 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