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농민들 제값 못받는 친환경농산물!! 최근 3년간 지급된 친환경농산물 직불금은 835억여원에 달해, 지급 완료 후 포기율도 늘고 있어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산지 직거래 및 친환경 농산물 유통시설 확충 절실

최근 웰빙열풍에 따라 친환경농산물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친환경농산물이 일반농산물보다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농민들의 수익은 오히려 일반관행농업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안효대 의원(새누리당/울산 동구)이 농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분석자료에 따르면, 쌀의 경우, 일반 관행농업은 10아르(a)당 약 714,000원의 생산비에 275,000원 정도의 순수익이 발생하는 반면, 무농약의 경우에는 관행농업보다 20% 더많은 생산비(862,000)가 투입되지만 순수익은 약 134,000, 유기농의 생산비는 약 933,800원이 투입되면서도 순수익은 약 10만원에 불과했다.

그러나 대형유통마트에서는 친환경농산물이 오히려 비싸게 팔리고 있다.

작년 지난 6월을 기준으로 대형유통마트에서 팔리고 있는 (20kg 기준)의 경우, 일반농산물이 평균 약 46,000정도인데 반해, 유기농 쌀은 약 89,000원으로 두 배 가까이 비싸고, 무농약 쌀은 약 69,000원으로 절반정도 더 비쌌다.

실제로 지난 6월 한 대형유통마트에서 판매한 일반 쌀의 매익률은 7.5%에 불과한 반면, 친환경 쌀의 매익률은 15.1%로써 2배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농식품부는 친환경 농산물 재배인증을 받은 농가에 한해 친환경직불금을 지불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지불된 금액만도 8354,600여만원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일정기간 직불금을 받은 후 친환경농업을 포기하는 농가는 늘고 있는 추세다.

지난 2012년 올해 8, 각각 2011년과 2013년에 친환경직불금을 수령 완료한 농가를 대상으로 일반농업으로의 전환 여부를 조사한 결과, 2011년 지급완료 농가 중 유기농가 10.6%, 무농약농가 20.2%가 친환경농업을 포기하고 일반농업으로 돌아갔고, 2013년은 유기농가 13.2%, 무농약농가 27.1%가 일반농업으로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를 분석한 안효대 의원은 친환경농산물의 유통구조가 상당히 왜곡되어 있다고 지적하며, “단순히 친환경직불금을 지원할 것이 아니라 친환경 농산물의 유통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산지 직거래와 친환경 농산물 유통시설을 마련하는 등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라이브뉴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송파구청·송파소방서, 가락시장 싱크홀 안전사고발생 대응 종합훈련 가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문영표)는 지난 10월 31일 송파구청, 송파소방서 등 15개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2025년 송파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및 긴급구조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도심지 싱크홀 발생 및 다중밀집시설 대형 화재 사고와 같은 대규모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가락시장(가락몰 일원)에서 민관 합동으로 500여명이 훈련에 참여했다. 땅꺼짐 발생으로 도시가스관이 파열되고, 누출된 가스로 화재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공사 자위소방대가 초기대응을 위해 옥외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를 시도하고, 대피 안내 방송에 따라 건물 내 유통인들과 입주자들을 대피시켰다. 이어서 화재 신고로 송파소방서가 출동하고 건물 내로 진입하여 진압과 동시에 부상자를 구조하는 등 구조·구급 활동을 전개했다. 화재 상황이 전파되어 대응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송파구청과 화재현장에는 재난안전대책본부, 통합지원본부, 긴급구조통제단이 설치되는 등 유관기관들과 협업하여 신속하게 화재 진압과 구조·구급을 위한 상황판단회의를 진행했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가락몰 1관에서 시작된 화재가 업무동으로 확산되는 과정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