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농촌진흥청, 제주흑우 정액 보급

농가 보유 제주흑우 중 후보 씨수소 3마리 선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우리나라 토종유전자원인 제주흑우의 유지·보존과 증식을 위해 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우수 씨수소의 정액 1,000스트로를 보급한다고 밝혔다. 또한 우수 씨수소 확보를 위해 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제주흑우 중 자질이 뛰어나고 혈통이 등록된 개체 중 제주흑우의 고유 털색과 관련한 다양한 유전적 특징 분석을 통해 후보 씨수소 3마리를 선발키로 했다. 현재 멸종위기 품종인 제주흑우는 제주에서만 사육되고 있으며 사육두수가 1,600여 마리에 불과하다. 그 중 순수 제주흑우 등록두수는 약 400여 마리 내외로 보존된 개체수가 상당히 미미한 수준으로 산업화를 위해서는 대량증식이 필요하다. 이에 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에서는 우수한 씨수소를 선발, 우수정액과 수정란을 생산해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또한 제주흑우의 보존 개체수가 적어 근친에 의한 피해가 나타날 수 있어 제주흑우의 정확한 유전정보를 탐색하고 교배계획을 수립해 개량의 기틀을 확립해 나가고 있다.

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 박남건 장장은“우수 토종 유전자원인 제주흑우의 안전한 유지·관리를 통해 국가적인 씨종축 확보 뿐만 아니라 제주흑우 동결정액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산업화 이용·육성 정책에 이바지 하고, 또한 다각적인 우수 연구 결과 도출로 산업화 기반 확보에 심혈을 기울여 가겠다”라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