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신시장 개척과 축산물 유통혁신에 힘쓸 것”

이기수 농협 축산경제대표...축산농가 생산안정을 위한 사료원료 수급에 더욱 심혈!

농협중앙회 이기수 축산경제대표이사는 취임 1개월을 맞아 “축산농가는 생산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고, 지속 가능한 축산업 육성을 위해 신시장 개척과 축산물 유통혁신을 중점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취임기간 동안의 포부를 밝혔다.

이 대표는 축산농가 생산안정을 위한 사료원료 수급 안정화 및 가축질병 재발 방지를 위한 방역시스템도 갖추기 위해 사료원료 수급 안정화를 꾀한다.

세계 최대의 타피오카 생산지인 인도네시아(람풍지역)에 12백만불을 투자하여 현지 가공공장을 인수, 연간 5만톤의 타피오카를 사료원료로 가공·생산 하여 국내로 직 반입·공급할 계획이다. 또 신 시장 개척으로 지속 가능한 축산업의 새로운 활로 모색을 위해 근 미국 농업부의 국내산 가금육가공품 수입 허용(3월), 세계물보건기구(OIE)로 부터의 구제역 청정국 지위 획득 가능(5월), 국 및 아세안 국가의 한류효과 등 수출여건이 호전되어 가는 가운데 축산 강국과의 FTA 등에 따른 국내축산업의 위기를 역으로 국내 축산물 수출확대를 통해 타개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조합 및 농협계열사들이 모여 상품개발, 마케팅 및 홍보, 수출시장 개척 등을 공동으로 수행할「농협축산물수출협의회」를 구성‧운영하고, 수출 활성화를 위한 검역문제 등 제도적인 부분도 정부에 적극 개진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국가별 수출전략품목을 개발 육성하고 적극적인 해외 신 시장 개척으로 4백만달러(‘13)에 불과한 축산물 수출액을 2016년까지 5천만달러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혀 향후 이기수 대표의 행보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