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바이오에너지용 거대 억새묘 공급

올해 5월, ‘거대억새1호’ 우량묘 증식·공급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장원석)은 바이오에너지용 거대억새 우량묘인‘거대억새1호’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거대억새1호’는 바이오에너지 원료의 국산화를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자생 물억새 품종으로, 억새 줄기가 굵고, 키가 일반 억새의 2배인 4미터까지 자라기 때문에 생산량이 기존 물억새에 비해 50% 이상 많다. 또한 바이오에탄올 수율도 억새 1톤당 480리터에 이르는 우량품종이다. ‘거대억새1호’묘는 재단의 강원도 횡성 증식포에서 약 40~45일간 육묘 후, 5월 중순부터 공급될 예정이다.

거대억새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단위면적당 에너지 생산량이 가장 많아서 바이오에탄올, 연료펠렛 등 미래 청정에너지 원료로 유망하다. 또한 수질오염 방지, 유휴지 생태경관, 친환경 건축자재, 바이오플라스틱, 버섯배지 등 활용도가 광범위하여 향후 시장전망도 밝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