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시장 정산회사 3월에 출범

비상장품목 출하대금 다음날 정산원칙

가락시장에 비상장으로 출하되는 품목을 중심으로 출하대금을 정산해 주는 전문 정산회사가 3월에 출범한다.가락시장정산회사는 비상장품목을 출하한 농가에게는 출하 다음날 곧바로 출하대금을 정산해 주는 것을 원칙으로 또 중도매인에게는 7일 이내에 판매대금을 회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설립된 가락시장정산회사는 총 30억원의 자본금으로 형성돼 있다.

또 이 자금은 농식품부의 100억원 지원으로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에서 15억을 출자했고 관련 중도매인이 15억원을 출자했다.

비상장품목을 거래하는 중도매인들은 매달 3만원의 일정액을 납부하고 정산금액의 0.04%를 수수료로 낸다. 중도매인들은 농산물대금을 3일이내에 납부해야 하고 3일이 초과되면 초과 1일당 0.01%의 가산금이 붙는다.

한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다음달 3월에 시범 운영을 거친뒤 4월부터 본격적으로 비상장품목에 대한 정산회사를 운영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유통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