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 '폭염 위험성' 경각심 낮아”

2025.07.16 22:54:15

- 김경란 농촌진흥청 농업인안전팀장 "전국 온열질환자 사망 9명 중 농업분야 4명으로 취약"

【인터뷰】 김경란 농촌진흥청 농업인안전팀장

 

여름철 폭염으로 불볕 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때문에 전국 응급실에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1,566명으로 이중에서 농업분야의 온열질환자는 전체의 271명(약 17%)이다. 농업분야 온열질환자의 약 79%는 6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발생했고, 주요 발생 시간대는 오전 8시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2~14시(20%)에 가장 많다.

 

특히, 전년 동일 기간 대비 전체 온열질환자는 약 2.9배, 농업분야는 약 2.2배 증가했다. 이에 따른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대책에 오랜기간 온열질환의 무서움과 중요성을 강조해 오고 있는 김경란 농촌진흥청 농업인안전팀장을 만나 깊은 얘기를 들어봤다.<편집자>

 

- 왜 농업인은 여름철 온열질환에 더 많이 노출되나요?

 

▶네, 농업인에게 농업 활동은 생계와 직결되기 때문에 폭염 속에서도 농작업을 이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더운 날씨로 작물 생육 부진과 병해충 등이 확산하면 소득 감소로 귀결되므로 농작업을 놓을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분 섭취나 휴식 없이 작업을 이어가는 경우가 많아 온열질환 위험이 다른 산업군보다 높습니다.

 

농작업이 이뤄지는 공간은 대부분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노지와 밀폐된 비닐온실입니다. 대부분 냉방장치는 전기로 가동되기 때문에 야외 농작업장 내 냉방장치 설치는 다소 어려운 상황입니다. 특히 고령 농업인은 폭염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낮고, 체온 조절 능력 등 신체적 대응 능력이 떨어져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 최근 온열질환 통계에서 농업인의 피해는 어느 정도인가요?

 

▶2025년 5월 15일부터 7월 13일까지 전국 온열질환자는 총 1,566명, 이 중 사망자는 9명입니다.이 중 농업 분야 온열질환자는 271명으로 전체의 17.3%를 차지하며, 4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 했습니다. 폭염 초기임에도 불구하고 농업인의 비중이 높다는 점은 구조적인 취약성을 시사합니다.

 

- 올해 어떤 폭염 대응 온열질환 예방 대책을 수립했나요?

 

▶네, 농촌진흥청은 행정안전부의 ‘여름철 자연재난 종합대책’(5.15.~9.30.)에 발맞춰 2025년 여름철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 대책을 수립했습니다.

이 대책은 시군 기술센터와 연계한 신속한 상황 전파, 기술 보급, 자율점검, 홍보·교육 등을 중심으로 종합적이고 실천 중심의 대응 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폭염 재난 위기경보 ‘경계’에 따라 재해대책상황실을 사전 운영(7.8.~)하여 일일 기상 상황, 농업인 온열질환자 및 사망자 현황을 지속적으로 점검(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중앙재난안전본부 비상단계 발령 시 더 강화된 조치를 시행할 계획입니다.

 

 

- 에어냉각조끼는 실제 현장에서 어느정도 효과가 있습니까?

 

▶네, 국립농업과학원에서 개발한 에어냉각조끼에 부착된 보텍스 튜브는 외부온도 대비 약 –15도의 냉각 성능을 가지고 있어, 에어라인을 통해 들어온 냉기로 의복 내 온도 13.8%, 습도 24.8%의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실증 시험 결과, 에어냉각조끼 착용 시 일반 작업복 대비 체온 상승 억제 효과는 0.5~1.3℃, 심박수 상승 억제, 땀 배출량 감소, 피로감 저감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냉각조끼 착용 시 작업 지속 능력이 향상되며, 사용자의 만족도도 매우 높아 고령 농업인에게 적합한 장비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현재 전국 20개소에서 신기술 보급 중입니다.

 

-‘온열질환 위험알림 워치’는 어떤 장비입니까?

 

▶‘온열질환 위험알림 워치’는 현재 국립농업과학원이 개발 연구 중인 착용형 장비로, 사용자의 운동량·심박수·작업 위치와 기상데이터를 종합 분석하여 폭염 시 위험 경고와 휴식 알림을 제공합니다.

 

현재 시작품 개발 중으로 성능 검정 중이며, 2026년 현장 실증을 거쳐 2027년부터 보급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 민관협력을 통한 대응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요?

 

▶농촌진흥청은 질병관리청의 응급실 감시자료를 활용해 시군별 온열질환 발생 통계를 분석하고 매주 각 도에 배포하고 있으며, 기상청의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자료를 활용해 농업인안전365 누리집에 ‘폭염 영향예보’, ‘체감온도 계산’ 정보를 매일제공하고 있습니다.

 

광주지방고용노동청과는 올해 2월 농업 분야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추진한 업무협약을 계기로 ‘온열질환 예방장비 및 온열환경 개선설비 지원사업’에서 추가로 확보된 추경예산을 일반사업장뿐만 아니라 산재보험을 가입한 농사업장에 대해서도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해 7월 업무협약을 맺은 동아오츠카(주), 대한적십자사는 7월 말부터 온열질환 예방 물품(이온 음료 등) 지원 및 농업인 맞춤형 예방 교육 등 폭염 대응 캠페인 활동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기관이 보유한 제도적·행정적 역량과 기업의 브랜드 영향력을 결합해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 향후 온열질환 대응방향은 어떻게 계획하고 있습니까?

 

▶농촌진흥청은 단기적으로는 예방 중심의 대응 강화, 장기적으로는 착용 장비(웨어러블)를 활용한 스마트 폭염 관련 기술 보급과 작업환경 표준화 등 디지털 기반의 안전관리체계로 전환해 나갈 계획입니다.

 

현재와 같은 기후 흐름이 유지된다면 폭염이 예외적 현상이 아닌 ‘일상화’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전망입니다. 폭염으로부터 농업과 농업인을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인 농업 환경 조성과 현장 중심의 선제적 안전 대책을 꾸준히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근로자 고용 농사업장은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합니까?

 

▶네, 산재보험 가입 근로자를 고용하는 농가의 경우 △시원한 물 △냉방장치 설치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냉장구 지급 △119 신고 등 폭염 안전 5대 기본 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전주= 나남길 kenews.co.kr>

 



-저작권자© 한국농촌경제신문.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53길8 강남빌딩 02-521-4007 신문등록 2011.4.14 서울,다50581(인터넷신문 발행 2011.10.1 등록 서울,아54506)발행·편집인羅南吉 청소년보호책임朴時瓊 네이버•구글 뉴스검색제휴/국제표준간행물등록 ISSN 263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