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포도협회(회장 박경환)와 농식품신유통연구원(이사장 원철희, 원장 김동환)은 4월 9일 김천 호텔로제니아에서 ‘2025년 제1차 포도 의무자조금 주산지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주산지협의회 개최 목적은 2025년산 포도 산업을 전망하는 한편, 포도 대표 주산지 지자체 담당자와 함께 수급 조절 및 소비 홍보 행사 등을 연계하기 위함이다.
이날 주산지협의회에는 정부, 주산지 지자체 유통담당자 및 회원 농협 조합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 포도 산업 전반의 중심을 이루는 20명의 관계자가 참석하여 2025년 포도 생산 유통을 전망하고 대응 방안을 함께 논의하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5년 포도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0.9% 감소한 14,512ha로 추정되나, 샤인머스캣의 시장 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철저한 품질 관리가 뒤따라야 가격을 지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진 포도 주요 주산지인 경북 경산시, 김천시, 상주시, 영천시, 충북 영동군, 옥천군, 충남 천안시, 경기 화성시 등 각 지자체별 동향 발표에서도 샤인머스캣을 중심으로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다양한 신품종 포도가 식재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대영 농림축산식품부 원예산업과 주무관은 "농산 자조금법 제정의 배경과 추진 경과를 설명하며, “주요 지자체와 한국포도협회가 함께 추진할 자조금 사업에 대한 기대가 크며, 정부도 적극 지지할 것”이라 밝혔다.
박경환 사단법인 한국포도협회 회장(서상주농협 조합장)은 2025년 자조금 사업 계획을 설명하며, “전국적으로 샤인머스캣 과잉이 예상되어 품질 관리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끼고 있다”라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도 지자체와 긴밀한 협력 아래 포도 농가의 자조금 납부를 독려하며 수출 촉진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동환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원장은 “이번 회의에서 자조금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는데, 중요한 것은 자조금은 하나의 도구이고 포도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관계자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기에 정부와 생산자 단체, 민간이 함께 협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도 의무자조금을 운용하는 사단법인 한국포도협회는 이번 주산지협의회에서 각 지자체의 의견을 정리하여, 포도 대표 주산지와 2025년 협력사업을 발굴하고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