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제조 기간과 비용 줄인 새 기술 개발… 산업화 기대

2016.05.28 17:49:13

소똥, 수거 뒤 바로 고체연료 만든다

소똥, 수거 뒤 바로 고체연료 만든다

농촌진흥청, 제조 기간과 비용 줄인 새 기술 개발산업화 기대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소의 배설물을 수거한 뒤 바로 고체연료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우리나라 가축분뇨 발생량은 한 해 4,623만 톤(2014)으로 이 중 89.7%가 퇴비액비로 사용되고 있다. 가축분뇨 처리는 퇴액비 관리 강화와 지역단위 양분 총량제 시행으로 축산업의 부담이 되고 있다. 때문에 분뇨를 고체연료화하면 환경 부담은 줄이고 유용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수분이 60% 이상인 소똥을 12일 만에 직경 10mm20mm 이하의 둥근 환 모양 펠릿으로 가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축사에서 갓 수거한 소똥을 압착 방식으로 수분을 줄이고 고르게 섞은 뒤, 환 모양 펠릿화 장치에 넣고 가공하면 고체연료가 완성된다


 이 방법은 축사에서 나온 똥을 바로 가공할 수 있어 분뇨가 농가에 머무르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만드는 기간이 짧고 방법이 단순해 인건비와 운영비, 부자재비용 등을 아낄 수 있다. 시설비도 기존 방법보다 약 20%30% 가량 저렴하다. , 입자를 작게 만들어 건조가 빠르고 쉽게 가열된다. 둥근 환 모양으로 저장은 물론 다루기 쉽다.


이번 기술을 적용하면 소똥 1톤으로 약 300kg400kg의 고체연료를 만들 수 있다. 발열량은 1kg3,000kcal 이상으로 무연탄의 70% 수준이다. 지난해 7월 마련된 고시에 따르면 앞으로 고형연료는 시멘트 소성로, 화력발전시설, 열병합발전시설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한 해 발생하는 소똥 1,9973천 톤(육우 1,4087천 톤, 젖소 5886천 톤(2014년 말 기준)) 중 일부를 고체연료화해 기존 제철, 발전분야에 쓰이는 석탄 소요량의 1%만 대체해도 약 1,070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축산농가의 환경 부담완화와 기존 가축분 자원화 시설의 고정비용, 운영비용 대체효과를 고려한다면 경제적, 사회적 효과는 더 클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은 기술을 특허출원 한 뒤, 산업체에 이전할 계획이다. kenews.co.kr 



-저작권자© 한국농촌경제신문.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53길8 강남빌딩 02-521-4007 신문등록 2011.4.14 서울,다50581(인터넷신문 발행 2011.10.1 등록 서울,아54506)발행·편집인羅南吉 청소년보호책임朴時瓊 네이버•구글 뉴스검색제휴/국제표준간행물등록 ISSN 263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