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3년간 배 가루깍지벌레의 성페로몬 트랩 조사 결과 발표

2015.06.03 10:12:10

‘배 가루깍지벌레’ 6월 중순 방제 효과적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지난 3년간 배나무에서 발생하는 가루깍지벌레 수컷을 성페로몬 트랩으로 예찰한 결과, 6월 중순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때 방제를 당부했다.


  배나무에 발생하는 가루깍지벌레는 상처 부위에 서식하며, 애벌레가 열매의 즙을 빨아먹어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크기가 작아 방제가 어렵다. 가루깍지벌레는 배나무의 나무껍질 틈이나 가지치기한 가지의 잘린면 틈 등에서 왁스 물질에 싸인 알덩어리로 겨울을 난다. 알에서 나온 어린 벌레들은 나무껍질의 틈 등 상처 부위의 부풀어 오른 조직에 살며 피해를 주기도 하고 배나무가 자라는 동안은 열매로 이동해 직접 빨아먹으며 피해를 주기도 한다.


  배는 봉지를 씌우기 때문에 가루깍지벌레가 열매에 피해를 준 경우 약제를 뿌려도 직접 노출되지 않아 방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어린 벌레나 큰 벌레는 과일 봉지 속의 보이지 않는 곳에 살며 왁스 물질을 분비하기 때문에 더 방제 효과가 낮다.


  농촌진흥청 배연구소에서 지난 3년간 가루깍지벌레의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해 발생량과 시기를 조사한 결과, 수컷 어른벌레는 6월 중순, 7월 하순8월 상순, 9월 중순10월 상순에 많이 발생했다. 이 중 발생량이 가장 많은 6월 중순에 방제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가루깍지벌레와 같은 피해를 주는 온실가루깍지벌레도 6월 상순에 알을 낳아 6월 중순이면 애벌레가 나와 배 열매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루깍지벌레에 등록된 약제를 1주일 간격으로 2회 뿌리면 온실가루깍지벌레를 동시에 방제할 수 있다. 한편, 성페로몬으로 교미교란을 실시한 결과, 가루깍지벌레 성페로몬 성분 900mg/10a 사용 시 약 70%90%까지 과실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산업체에서 관련 제품이 나와 실용화가 된다면 더욱 방제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진흥청 배연구소 조영식 연구사는 약제 방제 외에도 겨울에 나무껍질을 벗기고, 가지를 유인할 때 상처 부위에 깍지벌레류가 서식하지 못하게 테이프로 감아 놓거나 끈끈이를 뿌려주면 방제 효과가 높다.” 라고 전했다. kenews.co.kr

 



-저작권자© 한국농촌경제신문.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53길8 강남빌딩 02-521-4007 신문등록 2011.4.14 서울,다50581(인터넷신문 발행 2011.10.1 등록 서울,아54506)발행·편집인羅南吉 청소년보호책임朴時瓊 네이버•구글 뉴스검색제휴/국제표준간행물등록 ISSN 263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