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공익형 농업 직불제 3조원 이상 투입 필요

농경연 분석 결과 2조 5천억원 재원… 정부 목표 달성 불가능 진단
기본직불 대상 늘리고 부가공익형 추가위한 별도예산 필요

최근 직불제 개편을 위한 물밑 협상이 발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 직불제 개편이후 재정지출규모를 최소한 3조원이상으로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기본 직불금 적용대상을 0.5ha미만 농가들로 줄여도 당초 농림축산식품부가 예상했던 농가당 연간 기본직불금 120만원이상 지급은 2조5,000억 규모의 재정을 투입해서는 달성하기 어렵다는 분석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올 1월 1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분석한 직불제 개편 전후의 (직불금) 수령액 변화 추정자료에 따르면 농식품부가 기대한 바와 같이 0.5ha미만 50만 농가들에게 월 10만원씩 기본 직불금을 지급하려면 재정총액이 3조원에 이르러야 한다.

지난해 11월 농식품부는 0.5ha 미만 영세농을 기준으로 월 10만원씩의 기본직불금을 지급할 경우 약 6,000억원 수준의 추가재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하고, 직불금 재정 규모는 2조5,000억원 이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반면 국책연구기관인 농경연은 이와 차이나는 분석 결과를 내놓은 셈이다.

 

농경연 예측자료를 바탕으로 직불제 개편을 위한 적정 재정지출 규모를 산출한 바에 의하면 1ha이상 규모 농가들의 수령액을 재정지출규모 3조원 기준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1ha미만 75만 농가 전부를 상대로 한 기본 직불금을 200만원으로 높일 경우 필요한 재정지출 규모는 3조4,400억원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직불제 개편과 더불어 공익형직불제 실시를 위해선 최소한 3조원 이상의 예산 투입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0.5ha규모 미만 농가들에게 연간 100만원의 기본 직불금을 지급할 수 있는 2조5,000억원 규모의 재정지출로는 쌀재배 농가들의 소득 안정장치인 목표가격과 변동직불제 폐지를 이끌어내기 어려울 거란 관측도 만만치 않다. 실제로 민주평화당 박주현 바른미래당 의원은 1월 16일 농업소득의 보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을 발의하고, 농지면적 1ha를 기준으로 1ha까지는 200만원을, 1ha 이상일 때는 100만원을 지급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학계나 여야 국회의원들이 직불제 개편때면  거론하던 소농(小農)의 기준 면적은 일관되게 1ha였음에도, 기본 직불금 지급 영농규모를 0.5ha로 정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본직불금액을 드높이고, 대상 범위를 늘려야 한다는 얘기다.

그도 그럴것이 농식품부는 1ha미만 56만 쌀재배 소농은 고정·변동직불금을 더해서 75만원을 받았는데, 대농(大農)은 제작년에 9,000만원, 작년엔 5,000만원을 넘게 지원받았다면서, 1ha를 기준으로 소농을 위한 하후상박(下厚上薄)식 직불제 개편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직불제를 개편하더라도 논직불단가의 50% 수준에 머물러 있는 밭직불단가를 갑작스레 올리기 어렵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논밭 직불제는 같은 단가로 통합돼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직불제 개편논의 과정에서 밭 직불단가가 논보다 낮게 형성된다면, 밭이 많은 지역농가의 직불제 개편에 대한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고, 지역갈등마저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은 “기존 직불제로는 밭과 산이 많은 강원, 경북, 제주 농민들은 큰 손해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테면 강원도는 재배면적의 65%가 밭인데, 2017년을 기준으로 전국의 벼 농가와 밭 농가의 직불금 수령액을 비교해 보면 벼 농가는 평균 175만원, 밭 농가는 평균 25만원으로 엄청난 차이가 나타난다”면서, “논 직불금 수준으로 밭 직불금이 오른다면 똑같이 175만원씩이라고 가정하면 강원도 농가에 580억원이 더 지급됐어야 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경북이나 제주 농민 또한 이와 비슷한 불이익을 감수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8월 농경연이 발간한 농업직불제 개편 세부추진 방안 (공익형 직불제 확대 개편)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을 기준으로 노동투입시간은 논보다 밭이 8.3배나 많은데다, 연간 농업소득도 밭 작물이 벼보다 3.7배나 높다. 이는 전체 농가중 47%에 한정된 논에 편중된 현행 직불제 개편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이유이다.

 

김 의원은 “기존 고정 직불제에도 농약과 비료 사용기준을 준수해야 한다는 공익형 교차준수 잣대가 마련돼 있기는 하지만, 본격적인 공익형 직불제가 시행되는 2021년에 앞서 친환경농업이나 경관, 생태, 동물복지 등 공익을 위한 부가형 직불제 예산 마련을 별도로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직불제 개편이 추진되면 농산물 가격안정 장치 마련, 농업인 연령과 영농규모 재설정, 농지제도 개선을 통한 직불금 지급 투명화, 은퇴농민 복지 대책 마련과 같은 해묵은 농정개혁 과제들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직불제 개편은 농업예산 구조조정과 선진 농정을 위한 신호탄이자 기초를 다지는 계기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등은 연간 3조원~3조2,000억원 이상의 예산 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국농민회총연맹은 직불제 예산 3조원에다, 쌀과 채소 등의 가격안정을 위한 예산 1조5,000억원 가량을 별도로 투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벚꽃 언제필까?...전국 휴양림 벚꽃 개화시기 소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19일 벚꽃 개화 시기가 가까워짐에 따라 국립자연휴양림 벚꽃 명소를 소개했다. 전국 45개 국립자연휴양림은 대부분 도회지를 벗어난 교외에 있어 상춘객으로 붐비는 관광지와 달리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벚꽃을 감상할 수 있다. 충남 서천의 희리산해송자연휴양림과 충남 서산의 용현자연휴양림은 대표적인 벚꽃 성지이다. ‘벚꽃 비’를 맞으며 맛보는 야영의 즐거움은 일상의 시름을 씻어내기에 충분하다. 경북 영덕 칠보산자연휴양림과 전남 순천 낙안민속휴양림은 진입로부터 늘어선 벚나무들이 터널을 이루며 휴양객을 맞이한다. 충북 청주의 상당산성자연휴양림은 연분홍 벚꽃과 노란 개나리가 함께 펴 봄 분위기를 돋우고, 강원 원주의 백운산자연휴양림은 시원한 계곡 주변으로 핀 산벚꽃이 이색적이다. 이 밖에 용화산, 운장산, 유명산, 지리산, 황정산자연휴양림 등도 벚꽃 명소이다. 전국 국립자연휴양림의 야영장이나 객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숲나들e’에서 예약하면 된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자연휴양림을 찾는 국민들이 고즈넉한 숲속에서 휴식하며 일상으로 돌아갈 활력을 얻으시길 바란다”라며, “아울러, 연간 산불의 50% 이상이 건조한

배너